본문 바로가기
쉽게 풀어 쓰는 경제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의 폭발적 증가와 관련주 알아보기

by 휴먼제임스 2023. 12. 25.
반응형

전기차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폐배터리 처리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전기차의 배터리는 수명이 다하면 재활용하거나 폐기해야 하는데, 현재는 재활용 비율이 낮아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폐배터리에는 리튬, 코발트, 니켈, 망간 등 귀중한 원자재를 함유하고 있어 재활용 시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폐배터리를 폐기할 경우 환경에 유해한 중금속이 유출될 우려가 있어 재활용이 필요합니다.

 

전기차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
출처 : 환경부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글로벌 배터리 재활용 시장의 규모는 지난해 80억 달러에서 오는 2025년 208억 달러로 2배 넘게 뛰어오른 이후, 연평균 17%씩 증가해 오는 2040년에는 26배인 2089억 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사용 후 배터리란 전기차 배터리로서의 1차 수명이 다한 배터리를 의미합니다. 이를 제재조, 재사용, 재활용 배터리 등으로 용도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폐배터리 재활용 설비는 중국이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폐배터리 시장규모
출처 : 무역협회

 

글로벌 폐배터리 발생량

전 세계적으로 사용 후 폐배터리 발생량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무역협회는 글로벌 사용 후 배터리 발생량이 지난해 20 GWh에서 오는 2025년 44 GWh로 증가한 이후 연평균 33%씩 늘어나 오는 2040년에는 3천339 GWh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16만 대였던 글로벌 전기차 폐차량이 2025년 56만대로 늘어나고, 이후 연평균 33%씩 증가해 2040년이 되면 4천227만 대에 이를 것이란 전망과 맞물려 있습니다.

 

글로벌 사용 후 배터리 발생량
출처 : 무역협회

 

국내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국내 전기차 신규 등록 대수는 지난해 연간 16만 2987대로, 지난해까지 누적 40만 대를 넘어서 올해 8월 기준으로 누적 50만 대를 달성했습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전기차 보급 대수를 420만 대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국내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발생량도 2021년 440개, 2023년 2355개, 2025년 8321개, 2029년 7만 8981개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30년 이후에는 10만 개 이상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가 배출될 것이란 전망이 있습니다. 

 

무역협회는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산업이 경제성을 갖추고 성장하려면 배터리 재활용 원료를 원활히 수급하고 체계적인 전기차 배터리 회수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폐배터리 재활용 관련주 

정부는 큰틀에서 사용 후 배터리를 ‘폐기물’이 아닌 재활용이 가능한 ‘제품’으로 육성하는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할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사용후 배터리(제재조·재사용·재활용) 산업생태계의 체계적 육성을 위한 지원법도 2024년 마련될 것입니다.

 

성일하이텍

성일하이텍은 2차전지 리사이클링 전문 업체로 코발트, 리튬 등의 핵심물질을 추출하여 재활용하는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셀업체 및 글로벌 완성차 OEM업체 중심으로 안정적 수급망 및 거점을 구축하였으며, 기존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나오는 스크랩뿐 아니라 사용 후 전기차, ESG배터리도 원재료로 확보했습니다.

 

전처리 공정을 담당하는 리사이클링 파크와 제련 및 제품화를 진행하는 하이드로 센터를 통해 2차 전지 리사이클링 관련 일괄 공정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성일하이텍' 기업정보 알아보기 >>

성일하이텍 3개월 주가 추이
3개월간의 주가 추이 출처 : 네이버증권

 

새빗캠

2차전지 리사이클링 업체이며 한국전구체와 2 차전지용 전구체복합액 공급 관련 본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전구체복합액은 폐배터리를 파쇄해서 나온 블랙파우더에서 니켈, 코발트, 망간 핵심 광물을 추출한 후 혼합해 용액 형태 물질로 만든 것으로 양극재 제조에 쓰입니다. 

 

2024년부터 약 10년간 전구체복합액 등 2차 전지 리사이클링 핵심 소재를 한국전구체에 공급할 예정입니다. 2024년 초도물량을 시작으로 2026년부터는 전기차 4만 대 분량에 해당하는 연간 3700톤 이상 전구체 복합액을 공급할 예정입니다.

 

'새빗캠' 기업정보 알아보기 >>

 

새빗캠 3개월간의 주가 추이
3개월간의 주가 추이 출처 : 네이버증권

 

 

알아두면 도움되는 글

 

이차전지 제조공정, 이렇게 이루어집니다.

이차전지는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저장했다가 다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전기자동차, 휴대폰, 노트북 등 다양한 전자기기의 필수 부품입니다. 이차전지의 제조공정은 크게 전

narsisuss.com

 

2023년 마지막 공모주, '디에스단석' 청약 분석

2023년 마지막 공모주인 디에스단석(DS단석)이 12월 14일부터 15일까지 청약을 진행합니다. 디에스단석은 바이오연료, 폐배터리, 폐플라스틱 등 친환경 리사이클링 사업을 하는 기업입니다. 디에스

narsisuss.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