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쉽게 풀어 쓰는 경제

2024년 1월 금값 전망, 새해엔 금투자 해볼까?

by 휴먼제임스 2023. 12. 30.
반응형

2024년 청룡의 해가 다가오면서 새로운 투자처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금값이 1월에 오르는 경향이 있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온라인 매체 제로헤지에 따르면 세계 금협회(WGC)가 분석한 결과 1971년부터 현재까지 금 가격이 1월에 평균 1.79% 오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또 같은 기간 1월에 금이 올랐던 경우는 60%에 달했는데 2000년 이후의 1월엔 70%가 상승 마감했습니다. 금값이 1월에 올랐던 사례가 잦아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오늘의 금시세' 확인하기 >>

 

한국금거래소 공식홈페이지 - 대한민국 금거래의 중심

한국금거래소 실시간 금시세, 오늘의 금시세, 금값, 금시세, 은시세, 실시간 은시세, 금투자, 은투자, 골드바, 실버바, 돌반지, 순금주얼리, Gold, Silver, Platinum

www.koreagoldx.co.kr

골드바
출처 : AFP 연합

 

'1월'의 금시세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2013년부터 1월에 금 선물가격이 떨어졌던 적은 3차례(2013년·2021년·2022년)에 불과했습니다. 올해 1월의 경우도 금값은 6%가량 급등했습니다.

 

WGC는 금 가격이 유독 1월에 강세를 보였던 이유

 

  • 새 해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재조정)
  • 실질 금리의 계절적 약세
  • 음력설을 앞두고 동아시아 국가들의 금 비축 

WGC는 이어 2021년과 2022년 1월에 금값이 하락한 것과 관련해 "대체로 달러화가 강세를 보였던 시기와 일치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달러화는 금값과 반비례 관계입니다.  

  • 금을 포함한 주요 원자재는 통상 달러로 가격이 책정되기 때문에 달러 가치가 오르면 원자재 가격도 덩달아 올라 수요가 위축되기 때문입니다.

이런 가운데 내년 1월에는 금값이 오를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반응형

 

금값 상승 요인 

미국

  •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르면 내년 3월부터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
  • 미국 경기침체 우려가 짙어지고 있는 점도 금값 상승의 또 다른 요인으로 지목(금은 경제 침체 시 주목받는 대표적인 안전자산입니다.) 

실제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와 JP모건 등의 애널리스트들은 고금리의 여파가 경제 전반에 걸쳐 여전히 작동하고 있다는 이유로 침체를 완전히 피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중국

  • 세계 최대 금 소비국인 중국에서도 금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 3분기 수요를 기준으로 이는 2018년 이후 최대치이며 5년 및 10년 평균치를 상회한 수준이기도 하다. 올 1월부터 9월까지 중국의 골드바와 골드 코인 수요는 전년 동기대비 26% 급증한 197톤에 달했습니다. 
  • 2024년 음력설을 앞두고 중국의 금 수요가 더 오를 가능성이 있습니다. 

 

국제 금시세 확인하기 >>

 

 

 

올해 마지막 거래일인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국제 금 선물가격은 온스당 2071.80달러로 올 한 해를 마무리했습니다. 금값이 작년 말에 1826달러였던 점을 고려하면 올해 14%가량 오른 셈입니다. 

 

 

알아두면 도움되는 글

오늘의 금시세

 

 

 

 

 

반응형